Skip to main content
News

학회공지사항

<재공지> 2013 봄철 정기학술대회 <저널리즘 복원과 저널리스트 직업 위기 극복> 특별 세션 연구자 공모

관리자 | 2013. 03. 19

1. 회원님들의 건승을 기원합니다.


2. 2013 봄철 정기학술대회에 <저널리즘 복원과 저널리스트 직업 위기 극복> 특별 세션에 참여하실 연구자를 <다 음>과 같이 공모합니다.


<다  음>

2013 봄철 정기학술대회 

<저널리즘 복원과 저널리스트 직업 위기 극복> 특별 세션 연구자 공모



<기획 취지>

저널리즘 위기는 공동체의 위기이자, 나아가 민주주의의 위기이다. 민주주의 체제 하에서 저널리즘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영역에서 권력을 감시하고, 이해관계를 조정해 주는 등 공동체 유지의 필수 요소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하지만 최근 신문을 비롯한 저널리즘의 위기는 미디어 산업적 측면뿐만 아니라 사회 자체의 위기로까지 직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저널리즘 위기의 근본 원인은 고품질 뉴스를 생산하지 못하는 환경에 있다. 편재된 인터넷 환경은 뉴스 콘텐츠의 생산, 유통, 소비와 관련된 다양한 미디어와 플랫폼을 탄생시켜 신문을 비롯한 저널리즘 미디어의 경쟁력을 약화시키고 있다. 이러한 저널리즘 미디어의 경쟁력 약화는 공동체 유지를 위해 꼭 필요한 고품질 뉴스의 생산 및 유통을 저해하는 악순환으로 이어진다.

저널리즘의 복원을 위한 최우선 과제는 저널리스트의 직업 위기 극복이다. 고품질 뉴스의 생산과 유통을 위한 근본 요건은 저널리스트 경쟁력의 강화이다. 직업으로서 저널리스트의 위기를 극복함으로써 고품질 뉴스를 생산하고 유통해 공동체 유지를 위한 필수 요소인 저널리즘을 복원할 수 있다. 


<공모 주제>

주제 1: ‘저널리스트 직업의 특성 및 변화’

 - 미디어 테크놀로지 발전에 따른 저널리스트 직업 개념 및 유형의 변화

 - 미디어 생태계의 변화에 따른 저널리스트 전문성 및 직업윤리의 변화

 - 현재 직업으로서 저널리스트의 특성 및 사회적 함의

 - 저널리스트 직업의 변화 방향과 미래


주제 2: ‘저널리스트 직업 위기의 현황’

  - 뉴스 미디어 및 플랫폼의 급증과 저널리즘의 위기

  - 콘텐츠 생산자로서 저널리스트의 위기

  - 저널리즘 직업 위기의 내적 원인

  - 각종 데이터로 살펴본 저널리즘 직업 위기의 현황

  - 저널리스트 직업 위기의 전망


주제 3: ‘저널리스트 직업 위기의 극복 방안’

  - 고품질 뉴스 생산 및 유통을 위한 실무적 방안

  - 저널리스트 양성 및 재교육 시스템 관련 방안

  - 저널리스트 복지 시스템 관련 방안


<일 정>

▣제안서 마감일: 3월 22일(금)

▣제안서 분량: A4 1-2장 분량

▣최종 원고 마감일: 4월 26일(금)

▣제출: 한국언론학회 사무국 office@comm.or.kr

▣문의: 하승태 연구이사(sthaha@hanmail.net)


  1. 이전글
    <재공지> 2013년 봄철 정기학술대회 <신진학자 세션> 논문발표 공모
  2. 다음글
    <재공지> 제39대 한국언론학회 <제18대 대통령선거 후보자 토론회 평가 심포지엄> 개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