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공지사항
<공지> 커뮤니케이션 이론 9권 3호(2013년 가을호) 논문 공모
관리자 | 2013. 06. 17
1. 회원님들의 건승을 기원합니다.
2. 한국언론학회에서 발간하는 학술진흥재단 등재지 『커뮤니케이션이론』 9권 3호(2013년 가을호) 기획특집 논문과 일반논문 공모를 <다 음>과 같이 공지합니다.
<다 음>
커뮤니케이션 이론 9권 3호(2013년 가을호) 논문 공모
한국연구재단 등재지, 계간 『커뮤니케이션 이론』이 9권 3호(2013년 가을호)를 위한 기획특집 논문과 일반논문을 공모합니다.
『커뮤니케이션 이론』은 9권 1호에서는 기획특집(Ⅰ)으로 “한국 언론학 반세기, 성찰과 진로”를, 2호에서는 기획특집(Ⅱ)으로 “커뮤니케이션 연구와 인문학적 접근”을 다루었습니다. 이어서 이번 9권 3호에서는 기획특집(Ⅲ)으로 “빅데이터(Big data)와 커뮤니케이션학”을 다루고자 합니다.
우리는 지금 각종 감시기기(폐쇄회로 TV)나 다양한 형태의 커뮤니케이션 활동의 결과로 발생하게 된 ‘인간 활동의 흔적’에 관한 무수한 데이터(Big data)가 과잉되게 생산, 관리, 그리고 유통되는 세계에 살고 있습니다. 기업들은 이 빅데이터를 미래의 경쟁력과 가치창출의 원천으로 인식하면서 본격적으로 활용하기 시작했습니다. 공권력 역시 이미 오래 전부터 이를 구성원에 대한 감시 자료로 활용해 왔습니다. 한편, 사회과학적으로는 방대한 인간활동의 흔적을 담고 있는 이 빅데이터에 대한 분석이 사회현상에 대한 새로운 시각이나 법칙을 발견할 수도 있다는 기대감도 갖게 합니다. 이런 맥락에서 『커뮤니케이션 이론』은 이 ‘빅데이터 현상’이 커뮤니케이션 연구에 시사하는 바를 이론적이고도 실천적으로 탐구해보고자 합니다. 구체적인 소주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빅데이터가 만들어내는 새로운 자본주의 체제 분석: 빅데이터가 정보 정치경제학이나 미디어사회학 등 자본주의 사회분석과 관련해 어떤 의미를 가지는 지에 대한 논의
2) 빅데이터 방법과 빅데이터의 학문적 지위 분석: '데이터 사회과학', '소셜 애널리틱스', '문화분석학', '컴퓨터 활용 방법론' 등이 새롭게 학적 지위로 부상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의 학문적, 방법론적 전환의 장단점을 비판적으로 논의
3) 빅데이터와 데이터 감시 분석: 빅데이터를 이용하는 기업들의 활용유형과 가치창출의 변화, 공권력의 감시 양식의 변화 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는 논의
4) 소셜미디어와 빅데이터 분석: 빅데이터와 소셜미디어의 상관관계, 그리고 빅데이터 국면에서 소셜미디어의 사회문화적 함의를 살펴보는 논의
5) 탐사보도와 빅데이터 저널리즘의 미래: 데이터 저널리즘 시대를 넘어서 빅데이터 시대를 맞이하여 저널리즘의 위상변화, 그리고 빅데이터가 보도의 공정성이나 객관성, 탐사보도에 미칠 수 있는 잠재력에 대한 논의
이 외에도 ‘빅데이터와 위험 커뮤니케이션’, ‘빅데이터와 문화연구’, ‘빅데이터와 정보사회이론’ 등 다양하고 폭넓은 주제들에 대한 논의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일반논문은 9권 2호(2013년 여름호)와 마찬가지로 커뮤니케이션 현상과 관련된 것이면 어떤 주제든지 상관없습니다. 그러나 『커뮤니케이션 이론』은 낡은 사고의 한계와 틀에 도전하는 독창적인 문제제기와 새로운 패러다임을 환영합니다. 같은 맥락에서 철학적인 통찰력, 인문학적인 감수성, 사회학적인 상상력, 그리고 우리의 전통사상 등을 이론적인 자원을 삼아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새로운 통섭이나 융합을 시도하는 논문을 환영합니다.
우리는 본 학술지가 커뮤니케이션 이론에 관한 새로운 도전과 도약의 발판이 되어야 한다는 소명의식을 갖고 있습니다. 이러한 소명의식과 상응하는 참신한 기획주제를 발굴해서 기획특집이나 특별호로 다루고자 합니다. 많은 관심과 의견주시기 바랍니다.
‣ 투고마감: 2013년 7월 15일
‣ 발 행: 2013년 9월 15일
‣ 제 출: theory@comm.or.kr
‣ 문 의: 김영기(편집위원장) : ykkim@jnu.ac.kr
허진아(편집간사) : hja03@nat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