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News

학회공지사항

[공지] 기획학술연구서 <커뮤니케이션 다시 읽기: 경계를 가르는 관점들> 집필자 공모 결과

관리자 | 2015. 03. 25

1. 회원님들의 건승을 기원합니다.

 

2. 제41대 한국언론학회 기획학술연구서 출간 사업 <커뮤니케이션 다시 읽기: 경계를 가르는 관점들> 집필자 공모 결과 선정된 연구자는

   <다 음>과 같습니다. 공모에 참여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다  음>

 

□ 강상현(연세대): 크리스찬 푹스의 초국적 정보자본주의 관점에서 본 한국 사회 현실 분석

 

김상호(경북대): 모리스 메를로퐁티의 철학을 통해 살펴본 몸과 커뮤니케이션의 문제

 

김수정(충남대): 신자유주의 시대 한국 미디어/문화연구자들과 미셸 푸코의 만남과 생성: 푸코의 ‘통치성’ 개념을 둘러싼 학술담론의

                          특성

 

김예란(광운대): 정동의 윤리학: 주디스 버틀러의 ‘수행성’ 관점에서

 

박진우(건국대): 발터 벤야민의 ‘역사’와 ‘지금 현재’: 한국 사회의 민주주의와 문화정치에 대한 사유의 재검토  

 

서명준(동국대): 베르톨트 브레히트 Reloaded: 다시 커뮤니케이션 생산이론을 위하여

 

오세욱(서울시 미디어운영팀): 브루노 라투르의 행위자 네트워크 관점에서 본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이기형(경희대): 롤랑 바르트의 작업을 지금, 여기에서 맥락화하기

 

조창연(서원대): 찰스 샌더스 퍼스의 기호인식론을 통해 본 인간 커뮤니케이션의 이해

 

주형일(영남대): 자크 랑시에르의 지적 평등론이 한국 문화연구에 주는 시사점

 

□ 최영송(부경대): 들뢰즈의 통제사회 개념으로 본 네트워크 감시권력의 문제

 

태지호(안동대): 모리스 알박스의 집단 기억 개념이 현 한국 사회의 문화와 커뮤니케이션 이해에 갖는 함의

  

□ 황인성(서강대): 장 겝서의 인간의식구조 변천이론으로 가늠하는 현대 문화의 위기에 대한 이해 및 변화 가능성에 대한 일 고찰

 

 

- 기타 문의사항은 김수미 기획이사(sumi9676@hanmail.net), 박홍원 저술기획위원장(hwpark33@pusan.ac.kr)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1. 이전글
    [공지] 한국언론학회 통일커뮤니케이션위원회 특별기획세미나 “한반도 통일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전략과 모델” 발제자 공모 결과
  2. 다음글
    [공지] 제41-2차 정기이사회 회의결과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