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공지사항
[공모] 한국언론학회 2025 봄철 정기학술대회 한국콘텐츠진흥원 특별세션 발제자 공모
관리자 | 2025. 04. 01
1. 회원 여러분의 건승을 기원합니다.
2. 한국언론학회는 오는 5월 17일(토)~18일(일) 이화여자대학교에서 개최되는 2025 봄철 정기학술대회 한국콘텐츠진흥원 특별세션 <AI와 방송영상 콘텐츠 제작의 미래: 혁신과 도전>의 발제자를 다음과 같이 공모합니다. 회원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 다 음 -
□ 2025 봄철 정기학술대회 개요
- 일자: 2025년 5월 17일(토) ~ 18일(일)
- 장소: 이화여자대학교
- 대주제: 회복(恢復): 갈등의 시대, 언론(학)의 역할
□ 세션 주제: AI와 방송영상 콘텐츠 제작의 미래: 혁신과 도전
□ 기획 의도
AI 기술이 방송영상 콘텐츠 제작 현장에서 점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는 제작 방식의 혁신뿐만 아니라 제작자들의 역할 변화까지도 수반하고 있습니다. 최근 OTT 플랫폼뿐만 아니라 방송사, 제작사 등에서도 AI를 활용한 방송영상 콘텐츠 제작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AI 기반 콘텐츠 추천은 물론이고, 이제는 제작 현장에서 AI 영상 편집, 자막 생성, 자동 더빙, 삽화 및 동영상 제작, 가상 인물 생성 등 다양한 AI 기술이 활용되고 있습니다. 이처럼 AI는 콘텐츠 제작 현장에 혁신을 불러일으키며, 제작의 효율성을 높여주고 있습니다.
그러나 한편으로 AI의 도입은 방송영상 콘텐츠 제작 과정에서 창작자의 역할을 변화시키고 있습니다. AI 관련된 새로운 직무가 등장하는 한편 워크플로우의 변화, 일자리의 조정, 기존 인력의 재교육 필요성 등 다양한 실무 이슈들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이에 본 세션에서는 AI 기술을 활용한 방송영상 콘텐츠 제작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 어떤 정책적 지원 방안이 필요한지 살펴보고자 합니다. 또한 방송영상 콘텐츠 제작 환경 및 일자리 변화에 대한 긍정적·부정적 영향을 분석하여 향후 해당 산업의 발전 방향에 대해 논의하고자 합니다. 회원 여러분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 세부 주제(안)
- 방송, 제작사, OTT에서의 AI 활용 현황
- AI 기반 방송영상 콘텐츠 제작의 효과와 한계
- AI 도입에 따른 제작자 및 기술자의 역할 변화
- 새로운 직무의 등장과 인력 재교육 필요성
- AI 콘텐츠 제작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및 산업 지원 방안
- 해당 주제와 부합하는 다양한 논의
□ 공모 일정
- 4월 14일(월) 17:00: 연구계획서(신청서) 제출 마감
- 4월 16일(수): 발제자 선정 결과 발표
- 4월 25일(금): 발표 요약본 제출 마감
- 5월 2일(금): 발표 완성본 제출 마감
□ 제출 방법
- 위 공모 주제에 대한 2~3쪽 분량의 연구계획서(첨부파일 활용)를 작성하여 학회 이메일(office@comm.or.kr)로 제출
※ 이메일 제목 및 첨부파일명은 “2025봄철정기학술대회_한국콘텐츠진흥원_성명”으로 통일
□ 문의
- 2025 봄철 정기학술대회 조직위원회 위원 유수정(ohsoojung02@hanmail.net)
- 한국언론학회 사무국(02-762-6833, office@comm.or.kr)
2025 봄철 정기학술대회 조직위원회
김동환 박대혁 박성순 박인영 오세욱
유수정 이장근 이창준 최지향 표시영
2025 봄철 정기학술대회 조직위원장 지 성 욱
한국언론학회 회장 배 진 아